본문 시작
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
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
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 대한 지식, 기술, 태도를 갖춘 한국어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
- 국내외 한국어교육에 대한 교육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 전문가로서의 기본 자질을 함양한다.
- 한국어학, 한국 문학, 한국 문화를 중심으로 하여 외국어 교육으로서 인접 학문과의 연계 속에서 한국어교육의 내용론, 방법론을 익히도록 한다.
-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자로서 숙련된 기술을 갖추도록 한다.
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특성화 교육과정
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분야와 관련한 지식(Knowledge), 기술(Skill), 태도(Attitude)의 삼원 체제 교육과정 운영
- 국가직무능력표준(NCS) 모형에 기반을 두어 전공 능력과 현장 직업 능력을 연계한 통합 교육과정 체계 구축.
-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관련 직무능력 함양을 목표로 지식(Knowledge), 기술(Skill), 태도(Attitude)의 세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 개설
- 학부 1학년에서는 전공 기초 소양교육 실시하고, 2학년부터 4학년까지는 전공 심화 교과교육을 운영함.
한국어교육 분야 행정 및 교육 전문가 특강 및 워크숍 개최
- 한국어교육과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명사를 정기적으로 초청하여 특강을 마련하여 전공에 대한 시각을 넓히고, 이해를 도모함.
- 한국어교육 전공과 관련한 교수법, 평가 방법 등 실질적인 기술 훈련
- 전공 관련 지식 강화
정기적인 전공 관련 멘토링 상담 제도
-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전공과 관련한 국내외 현황을 이해하도록 지도함.
-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분야 진로 설계
한국어 및 한국어교육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
- 시험 대비 및 자격증 준비를 도와 취업 모색
-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
한국어교육기관 연계 현장 실습 교육
- 한국어교육기관 연수를 통한 한국어교육 현장 실습 강화
-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예비교사로서 요구되는 자질 즉, 한국어교육의 기술, 기능, 태도를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.
- 교내외 한국어교육기관 연계 참관 및 실습 : 한국어문학과 내 한국어교육 전공 학부 과정에서는 국제교육원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의 현장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
교내 한국학센터와 공동 교육 및 실습 프로그램
- 현재 한국어문학과는 한국학센터와 행정적, 제도적, 학문적, 인적으로 연계되어 있다. 그러나 최근까지 이 같은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였다.
- 이는 한국어문학과 학부생들의 진로 개척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.
한국어교원자격취득조건
영역별 필수이수학점
영역 | 학사 학위 취득자 | 석·박사 학위 취득자 | |
---|---|---|---|
전공(복수전공) | 부전공 | ||
2급 | 3급 | 2급 | |
한국어학 | 6학점 | 3학점 | 3~4학점 |
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| 6학점 | 3학점 | |
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| 24학점 | 9학점 | 9~10학점 |
한국문학 | 6학점 | 3학점 | 2~3학점 |
한국어교육실습 | 3학점 | 3학점 | 2~3학점 |
합계 | 45학점 | 21학점 | 18학점 |
한국어교원 자격 취득 관련 교과목
영역 | 세부 심사기준 | 과목 예시 |
---|---|---|
한국어학 | 한국어의 다양한 특징과 현상, 한국어의 음운·문법·어휘·의미·화용·역사·어문규범 등의 내용으로 주로 이루어지는 것 | 국어학개론, 한국어음운론, 한국어문법론, 한국어어휘론, 한국어의미론, 한국어화용론, 한국어사, 한국어어문규범 등 |
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| 일반 언어의 보편적인 구조와 특징, 음운·문법·어휘·의미·화용·역사 등의 일반언어학 하위 분야 내용 또는 일반언어학의 연구 결과를 실용적인 문제에 적용하는 응용언어학 하위 분야 내용으로 주로 이루어지는 것 | 응용언어학, 언어학개론, 대조언어학, 사회언어학, 심리언어학, 외국어습득론 등 |
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|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수법 전반에 해당되는 내용, 한국어의 음운·문법·어휘·의미·화용·역사·어문규범 등의 교육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주로 이루어지는 것 | 한국어교육개론, 한국어교육과정론, 한국어평가론, 언어교수이론, 한국어표현교육법(말하기, 쓰기), 한국어이해교육법(듣기, 읽기), 한국어발음교육론, 한국어문법교육론, 한국어어휘교육론, 한국어교재론, 한국문화교육론, 한국어한자교육론, 한국어교육정책론, 한국어번역론 등 |
한국문화 | 한국어교육에 필요한 한국의 역사·민속·철학·정치·경제·사회·지리·예술 등의 내용으로 주로 이루어지는 것 | 한국민속학, 한국의 현대문화, 한국의 전통문화, 한국문학개론, 전통문화현장실습, 한국현대문화비평, 현대한국사회, 한국문학의 이해 등 |
한국어교육실습 | 한국어교육을 실제로 하거나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을 참관하는 등 한국어교육 실습을 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것 | 강의 참관, 모의 수업, 강의 실습 등 |
주요 취업 사례 (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)
- 명지대·인천대·세명대 한국어교육원 교원
- 태국 중학교 한국어교원 파견
- 국내외 한국어교육·한국학 관련 국제 교류 및 연구·행정 기관 행정직원
- 우즈베키스탄 중학교 한국어교원 파견
- 국립국어원 행정직원
- 담당부서 : 미디어문화학부
- 담당자 : 장혜리
- 연락처 : 043-649-1760
- 최종수정일 : 2022-08-04